2025/04/18 2

오름 정상부의 분화구 형태 분류 및 특징 분석

1. 제주 오름 분화구의 형태적 다양성과 분류 기준제주도의 오름은 기생 화산체로 형성된 만큼 대부분 정상부에 분화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분화구의 형태는 오름마다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단순한 원형 구조에서부터 말발굽형, 이중분화구, 함몰형, 반원형 구조에 이르기까지 그 분류는 상당히 세분화된다. 이러한 형태의 차이는 오름 형성 당시의 분출 방식, 화산쇄설물의 양, 마그마의 점성도, 그리고 분화구 붕괴 여부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지질학적으로는 원형형(Circular Type), 말발굽형(Horseshoe Type), 이중분화구형(Dual Crater Type), 붕괴형(Collapsed Typ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분화구의 형태는 단순한 외관의 차이를 넘어서, 해당 오름이 어..

제주오름 2025.04.18

용암이 만든 지형의 다양성 – 평지형 오름과 급경사 오름 비교

1. 용암 분출 방식에 따른 오름 지형의 기본 구조제주도의 오름은 전형적인 화산 지형으로, 대부분 마그마의 분출에 의해 형성된 기생 화산체이다. 이 오름들은 형성 당시의 분출 방식, 분출물의 성질, 마그마 점성도에 따라 전혀 다른 외형과 경사를 갖게 된다. 마그마가 비교적 유동성이 높고 부드럽게 분출된 경우, 분출물은 넓게 퍼지면서 완만한 경사의 평지형 오름을 형성한다. 반면, 폭발적 분화가 일어나거나 점성이 높은 마그마가 천천히 분출될 경우, 물질이 축적되며 급한 경사의 급경사 오름이 만들어진다. 제주 오름의 대부분은 이러한 두 유형 중 하나에 해당하며, 형성 당시의 자연 환경(기온, 수분, 풍속 등)에 따라 응회암층, 스코리아층, 용암류 등이 혼합되어 다양한 지형 구조가 나타난다. 같은 지역 내에서도..

제주오름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