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주 오름 분화구의 형태적 다양성과 분류 기준제주도의 오름은 기생 화산체로 형성된 만큼 대부분 정상부에 분화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분화구의 형태는 오름마다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단순한 원형 구조에서부터 말발굽형, 이중분화구, 함몰형, 반원형 구조에 이르기까지 그 분류는 상당히 세분화된다. 이러한 형태의 차이는 오름 형성 당시의 분출 방식, 화산쇄설물의 양, 마그마의 점성도, 그리고 분화구 붕괴 여부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지질학적으로는 원형형(Circular Type), 말발굽형(Horseshoe Type), 이중분화구형(Dual Crater Type), 붕괴형(Collapsed Typ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분화구의 형태는 단순한 외관의 차이를 넘어서, 해당 오름이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