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2

오름 주변 마을의 공동체 문화와 변화 양상

1. 오름과 함께 형성된 전통 마을의 입지 구조제주도의 오름은 단순한 자연 지형이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마을의 입지와 삶의 구조를 결정지어온 중요한 공간이다. 제주 사람들은 예부터 바람과 물, 햇빛과 지형을 고려해 정착지를 선택했고, 오름은 그 기준에서 빠지지 않는 핵심 요소였다. 오름은 강한 해풍을 막아주는 방풍림 역할을 했고, 그 사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은 자연스럽게 계곡과 용천수를 형성하여 물 부족에 시달리는 제주에서 중요한 수자원 공급원이 되었다. 이러한 조건을 가진 오름 자락에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모여들었고, 마을이 형성되었다. 예를 들어 ‘다랑쉬오름’ 아래 자리한 다랑쉬 마을은 제주 동부의 전형적인 오름-마을 구조를 보여준다. 오름은 단순히 마을 뒤에 솟은 언덕이 아니라, 공동체의 중심을 ..

제주오름 2025.04.21

오름 명칭에 숨겨진 방언과 제주어의 언어학적 가치

1. 오름의 이름은 단순한 지명이 아니다 – 제주어의 살아 있는 기록제주도의 오름은 단순한 지형적 명칭을 넘어서, 지역민의 삶과 문화, 언어가 반영된 언어 유산이다. 제주 전역에 걸쳐 약 370여 개의 오름이 분포하고 있으며, 각각의 오름 이름은 해당 지형의 생김새, 전설, 용도, 위치, 동식물, 날씨, 색깔, 신앙 등 다양한 요소를 기반으로 붙여졌다. 오름의 명칭은 대부분 표준어가 아닌 제주어 또는 고유 방언에서 유래한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어, 제주어의 고유성과 언어적 풍부함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자료가 된다. 예를 들어 ‘따라비오름’의 ‘따라비’는 신을 뜻하는 제주어에서 비롯되었고, ‘다랑쉬오름’의 ‘다랑쉬’는 분화구를 중심으로 둘러싸인 형상을 표현하는 고어적 표현이다. 이런 이름은 단순한 호칭이 ..

제주오름 2025.04.21